카카카오뱅크 25년 1분기 실적발표, 역대 최대 순이익 기록

카카오뱅크가 올해 1분기 역대 최대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여신 성장률이 수신 성장률을 웃돌며, 그 차익을 활용해 자금 운용을 확대한 것이 실적 상승의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카카오뱅크는 7일 올해 1분기 매출 7,845억 원, 영업이익 1,830억 원, 당기순이익 1,374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9.29% 증가한 수치이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3.34%, 23.58% 증가한 결과입니다.

이자수익은 지난해 4분기보다 줄었지만, 수수료수익과 기타수익이 매출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1분기 기타수익은 1,047억 원으로 전 분기의 586억 원 대비 78.67%나 급증했습니다. 권태훈 카카오뱅크 CFO는 이번 실적에 대해 “수신이 전 분기 대비 10% 증가한 반면 여신은 3% 증가했으며, 이로 인한 차익을 활용해 자금 운용 규모를 늘린 것이 주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향후 자산 포트폴리오 확대 계획과 함께, “2027년 말까지 카카오뱅크의 수신 규모는 약 91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올해 1분기 이자수익은 6,022억 원으로 지난해 4분기의 6,078억 원 대비 소폭 감소했습니다. 순이자마진(NIM)도 전 분기 2.15%에서 2.09%로 하락했습니다. 권 CFO는 “금리부 자산과 부채 모두 수익률이 10bp씩 하락하며 순이자마진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저원가성 예금을 중심으로 수신 규모를 크게 확대할 계획이므로 예대율 하락은 불가피하다”며, “다만 연간 순이자마진은 2% 이상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카카오뱅크의 수신 잔액은 1분기 기준 60조 4,000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9.82% 늘었고, 같은 기간 여신 잔액은 44조 3,000억 원으로 2.55%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예대율은 전 분기 78.6%에서 73.3%로 하락했습니다. 권 CFO는 연말까지 예대율이 약 70%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대출 부문에서는 개인사업자 대출과 비수도권 지역 대출에서 성장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권 CFO는 “올해 대출 성장률은 지난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며,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방침이 지속되는 가운데 비수도권 규제가 일부 완화되고 있어 긍정적인 결과가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연체율은 1분기 0.51%로 전 분기보다 1bp 하락했습니다. 자산 규모 증가와 안정적인 대출 구조 덕분에 연체율이 낮게 유지된 것입니다. 하지만 권 CFO는 “올해 연체율이 다소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며, 경기 민감 계층과 개인사업자 대출에 대한 정교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카카오뱅크는 담보 대출 상품을 추가 출시하고, 보증서를 중심으로 개인사업자 대출을 확대하며 연체율 안정화를 도모할 계획입니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초 신용평가모형을 재개발해 중신용자에 대한 보다 세밀한 리스크 관리를 진행 중이며, 우량 고객의 유입을 확대하여 대출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회사 측은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향후에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염미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