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전월 대비 2조2천억 원 증가, 대출 고삐 더 죈다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image-1.png입니다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image-1.png입니다

6·27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가계대출 증가세가 눈에 띄게 둔화됐다. 그러나 대출 잔액은 여전히 늘고 있어 금융권과 당국 모두 규제 강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서 제외되는 예금담보대출이 빠르게 증가하며 ‘풍선효과’ 우려도 커지고 있다.

1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7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2조2천억 원 증가했다. 이는 6월 증가액(6조5천억 원) 대비 약 67% 줄어든 수치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대출이 2조8천억 원 늘어난 반면, 제2금융권은 신용대출 축소 등의 영향으로 6천억 원 감소했다. 특히 5대 시중은행은 4조1,386억 원이 증가해 대형은행과 중소형은행 간 흐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금융위 관계자는 “7월 가계대출 증가 폭은 올해 3월 이후 최저 수준”이라며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당국은 대출 수요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실제로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8월 12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1조3,276억 원 늘었다. 영업일 평균 1,700억 원이 증가한 셈으로, 현 추세가 이어지면 8월 한 달 동안 약 3조3,200억 원이 늘어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예금담보대출 급증이 눈에 띈다. 5대 은행의 예담대 잔액은 이달 12일 기준 6조1,833억 원으로, 전월 대비 1,329억 원 증가했다. 불과 12일 만에 전월 증가폭(480억 원)의 세 배에 달하는 규모다. 전문가들은 “신용대출이 막히자 예금을 담보로 한 급전 수요가 늘고 있다”고 분석한다.

은행권은 정부 규제 외에 자체적인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신한은행은 소유권 이전 전세대출 제한 조치를 전국으로 확대했으며, 14일부터 대출모집인을 통한 10월 주담대·전세담보대출 접수도 중단한다. IBK기업은행은 타행 전세대출 갈아타기를 차단했고, SC제일은행은 9월까지 비대면 주담대 접수를 받지 않기로 했다.

금융당국 역시 대출 증가세가 진정되지 않으면 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추가 인하, 전세대출 DSR 적용, 주담대 위험가중치 조정 등의 조치를 예고했다. 최근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과 가격이 동반 상승하며 주담대 수요가 다시 늘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도 당국이 예의주시하는 대목이다.

금융위는 이날 가계부채 점검회의에서 “고가주택 자금출처를 정밀 분석하고, 세금신고 적정성도 철저히 검증하겠다”며 “필요 시 추가 규제를 즉시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염미정 기자